KBB한국불교방송

KBB한국불교방송

HOME > 신문 > 종교

나옹왕사 관련 사찰 불적답사 경상도편 "통도사(通度寺)"
작성자
최고관리자
등록일
2021.01.29 09:39
조회수
2,928
  • URL 복사

6a98b4149aba1c18eb283e38f7133da8_1611880846_4065.jpg
6a98b4149aba1c18eb283e38f7133da8_1611880846_4917.jpg
6a98b4149aba1c18eb283e38f7133da8_1611880846_6608.jpg
6a98b4149aba1c18eb283e38f7133da8_1611880846_7926.jpg
 


통도사(通度寺) 삼성각에 나옹왕사와 함께 삼화상 봉안  

사찰 주소 경남 양산시 하북면 통도사로 108


통도사는 우리나라 삼보사찰 가운데 하나인 불보(佛寶) 사찰이며, 대한불교조계종 제 15교구 본사이다. 646(선덕여왕 15)에 자장율사(慈藏律師)가 창건하였다. 산 이름을 영축산이라 한 것은 산의 모양이 인도의 영축산과 모양이 매우 비슷하기 때문이라고 하나, 그 옛 이름은 축서산이다.

 

절 이름을 통도사라 한 까닭은 다음과 같은 뜻이 있다. 첫째는 전국의 승려는 이곳의 금강계단에서 득도한다는 뜻이 있다. 둘째는 만법을 통달하여 일체중생을 제도한다는 뜻이 있다. 셋째는 산형이 인도의 영축산과 통한다는 뜻 등이 있다. 창건주 자장율사가 643년에 당나라에서 귀국할 때 가지고 온 불사리와 가사, 그리고 대장경 400여 함을 봉안하고 창건함으로써 초창 당시부터 매우 중요한 사찰로 부각되었다. 특히 불사리와 가사뿐 아니라 우리나라 역사상 최초로 대장경을 봉안한 사찰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역사 기록은 통도사의 사격을 단적으로 설명해 주는 매우 중요한 기록임에 틀림없다. 그리고 이 절을 창건한 자장율사는 계단을 쌓고 사방에서 오는 사람들을 맞아 득도시켰다. 이에 통도사는 신라 불교의 계율 근본도량이 되었다.

 

창건 당시에는 오늘날과 같은 대찰이 아니고 후에 금강계단이라고 불려진 계단을 중심으로 몇몇 법당이 존재하였을 것으로 짐작하고 있다. 그 뒤 고려 초에는 사세가 더욱 확장되어 절을 중심으로 사지석표, 즉 국장생석표를 둘 만큼 대규모로 증축되었다. 특히 현존하는 중요 석조물이 고려 초기 선종 대에 조성되었으므로, 가람의 정비는 이때 중점적으로 이루어졌음을 추정할 수 있다.

 

그 당시의 중요한 석조 조형으로는 금강계단 상부의 석종형부도를 비롯하여 극락전 앞의 삼층석탑, 배례석, 봉발대, 그리고 국장생석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모두 고려시대에 속하는 유물이고 그 밖에 현존하는 목조건물들은 모두 임진왜란 이후에 건립되었다.

 

물론 조형상으로 가장 앞서는 석조물로는 영산전에서 마주 보이는 남산 위의 폐탑재를 들 수 있으나, 이는 이미 파괴된 채 기단부의 사리공만이 주목되고 있다. 이 석탑이 어떻게 하여 파괴되었는지 또는 최초에 건립된 사원과 어떤 연관이 있는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통도사의 가람배치는 신라 이래의 전통 법식에서 벗어나 냇물을 따라 동서로 길게 향하였는데. 서쪽에서부터 가람의 중심이 되는 상로전(上爐殿)과 중로전(中爐殿) · 하로전(下爐殿)으로 이어진다. , 그 서쪽 끝에 보광선원(普光禪院)이 자리 잡고 있다.

 

본래 이 절터에는 큰 못이 있었고 이 못에는 아홉 마리 용이 살고 있었으나 창건주 자장율사가 이들을 제도하고, 한 마리 용을 이곳에 남겨 사찰을 수호하게 하였다는 전설이 있다. 현재도 금강계단 옆에는 구룡신지(九龍神池)의 자그마한 상징적 못이 있다.

 

먼저 동쪽에서부터 일주문(一柱門) · 천왕문(天王門) · 불이문(不二門)의 세 문을 통과하면 금강계단에 이르게 된다. 금강계단 앞의 목조건물인 대웅전은 임진왜란 때 불탄 것을 1645(인조 23) 우운(友雲)이 중건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건물 상부의 기본형태는 T자형의 특이한 구조를 나타내고 있으며, 그 정면격인 남쪽에는 금강계단, 동쪽은 대웅전, 서쪽은 대방광전, 북쪽은 적멸보궁의 편액이 걸려 있다.

 

그러므로 이 건물을 대웅전이라고 하지만 남쪽 정면의 금강계단이 그 정전이라 할 수 있다. , 이 건물의 바로 뒤쪽에는 통도사의 중심이 되는 금강계단 불사리탑이 있다. 이는 자장율사가 당나라에서 가지고 온 불사리를 세 곳에 나누어 황룡사탑 · 태화사탑, 그리고 통도사 계단에 봉안하였다고 하는 바로 불사리 계단이다.

 

통도사의 특징은 이 불사리 계단에 있으며 또 이로 인하여 불보사찰의 칭호를 얻게 된 것이다. 부처님의 신골(身骨)인 사리를 봉안하였으므로 대웅전 내부에는 불상을 봉안하지 않았으며, 내부에는 불상 대신 거대하고 화려한 불단(佛壇)이 조각되어 있을 뿐이다. 이와 같은 근본적 의미는 계단에 부처의 사리를 봉안하고 있다는 신앙 때문이다. 그리고 금강계단 목조건물의 천장에 새겨진 국화와 모란꽃의 문양 또는 불단에 새겨진 조각은 주목되는 작품이다.

 

영취산 통도사 일주문 편액 밑에 주련 형식의 글씨에 '불지종가 국지대찰(佛之宗家 國之大刹)이라고 씌여있다. 부처님의 집안에서 으뜸이요, 나라에서 제일가는 사찰이라는 뜻이다. 통도사는 대한민국 국민들이라면 불자가 아니라도 일생 중에 한 번쯤 와보게 되는 사찰이다.

 

학창시절에는 문화유적 답사지로써, 또는 수학여행 코스로써, 사회생활을 하다 보면 또 다른 인연으로 와보게 되는 사찰이다. 불자라면 몇 번씩 순례지로 정하여 다녀오게 되는 사찰이다.

통도사는 도량이 넓고 전각과 문화재가 많다. 불교의 팔만대장경을 보는 것 같아 도량 전체를

다 꿰뚫기는 쉽지 않다.

 

상황에 맞추어 사찰 순례나 답사에 필요한 부분만을 볼 수밖에 없다. 이번 나옹왕사 관련 사찰로 나옹왕사께서 통도사에서 수행 정진하셨다는 기록은 찾을 길이 없다. 다만 통도사 삼성각에 삼화상을 모시고 있어 참배하기 위해 찾았다.

 

먼저 일주문을 거쳐 대웅전에 들러 법신사리가 모셔져 있는 곳을 향하여 예를 갖추고 바로 삼 성각으로 향했다. 통도사 삼성각은 1870년 고종 7년 영인대사에 의해 전각이 지어지고 현재의 건물은 1935년 경봉선사가 중건한 것이라 한다. 건물형식은 정면 3, 측면 1칸이다.

 

보통 삼성각은 치성 광여래와 독성과 산신을 모신다. 통도사 삼성각은 독성님께서 중앙에 계 시고 우측에 치성광 여래님과 좌측에 삼화상인 지공화상 · 나옹왕사 · 무학대사가 모셔져 있다. 특별한 이유가 있는 것인지는 모르겠지만 나옹왕사와 두 분 선사께 삼배씩 올리고, 특별히 나옹왕사께 이번 나옹왕사 관련사찰 답사가 원만 회향 되기를 발원하며 스님의 게송을 송()하고 전각에서 나왔다.

 

스승을 뵈러 가는 환암장로를 보내면서

남은 의심 풀려고 스승 뵈오러 가나니

주장자 세워 들고 용같이 활발하네

철저히 파헤쳐 분명히 안 뒤에는

모래수 만큼의 대천세계에 맑은 바람 일어나리

 

삼성각에서 나와서 구룡지 우측을 살펴보니 산령각의 전각이 보인다. 삼성각에 모시지 못한 산신님을 옆 전각에 따로 모셔져 있었다. 밖에서 예를 갖추고 왔던 길로 돌아 나왔다. 시장하여 주차장 옆 다정한 식당에서 아침 떡국공양을 맛있게 먹고 도량을 하산하다.

  • URL 복사

KBB한국불교방송 방송/신문/매거진 무단 저재 및 재배포 금지

- 상업적 목적의 사용은 허용하지 않습니다.

- 출처 'KBB한국불교방송'을 반드시 표시하셔야 합니다.

KBB한국불교방송은 여러분과 함께 만들어 갑니다.

제보 053-1670-2012

많이 본 매거진

인기 영상

많이 본 신문

KBB 전체 인기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