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매거진 > 화보/출사
URL 복사

▲ 강향숙- <양양 선림원지 삼층석탑>

▲ 김선화- <경주 보문사지 당간지주>

▲ 문정순- <익산 왕궁리사지 오층석탑>

▲ 우실-<안동 임하동 중앙삼층석탑>

▲ 유영희- <경주 보문사지 당간지주>

▲ 이병윤- <하남 동사지 석탑>
[우리문화신문=최우성 기자] 우리 선조들은 이땅을 극락같이 아름답고 살기 좋은 곳으로 만들고자 명산 명당터를 찾아 절을 세웠습니다. 그렇게 세웠던 절들은 한동안 선조들이 염원한 것처럼 지상에서 볼 수 있는 극락이 되었지만 세상의 변화에 따라 절의 운명도 바뀌어 융성하던 절들도 전란을 피하지 못하고 무너져 내린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그러나 선조들이 이룩했던 절터에는 극락세계를 이루고자 염원하며 정성을 다했던 자취들이 남아서 옛 영화를 이야기 하고 있습니다. 비록 지금은 옛 영화를 볼 수 없지만, 언젠가 다시 서게 될 날을 기원하며 선조들의 염원을 담아 그 이야기를 눈으로 보고 이를 표현한 것들이 사진작품이 되어서, 그 뜻을 알리고자 많은 이들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옛 절터 사진전에 관심있는 독자님들의 관람을 추천합니다.
□ 사진전명 : 천년의 혼, 옛 절터
□ 전시기간 : 2025. 11. 7.(금) - 2025. 11 . 20(목)
□ 전시작품 : 김선화 외 다섯 작가 작품 24점
□ 전시장소 : 대한불교조계종 국제선센터 1층 로비(서울 양천구 소재)

URL 복사
KBB한국불교방송 방송/신문/매거진 무단 저재 및 재배포 금지
- 상업적 목적의 사용은 허용하지 않습니다.
- 출처 'KBB한국불교방송'을 반드시 표시하셔야 합니다.
KBB한국불교방송은 여러분과 함께 만들어 갑니다.
제보 053-1670-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