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B한국불교방송

KBB한국불교방송

HOME > 매거진 > 화보/출사

일본에 남은 사명대사 유정의 붓글씨
작성자
최고관리자
등록일
2020.01.29 12:37
조회수
4,716
  • URL 복사


bf24897d12582108a79c603a0bcb2dd2_1580269024_7845.jpg 


국립중앙박물관 특별실에 전시중인 사명대사가 일본 고쇼지에 남긴 유묵전 알림판
▲ 국립중앙박물관 특별실에 전시중인 사명대사가 일본 고쇼지에 남긴 유묵전 알림판

 

사명대사 진영 (19세기 작), 빛나는 눈빛이 선사로서의 기품이 느껴지며, 눈꼬리가 치켜올라 장군의 기상도 보여진다. 현재 동국대학교 박물관 소장품
▲ 사명대사 진영 (19세기 작), 빛나는 눈빛이 선사로서의 기품이 느껴지며,
눈꼬리가 치켜올라 장군의 기상도 보여진다. 현재 동국대학교 박물관 소장품

 

사명대사 진영 상세, 선사로서의 기품이 느껴진다.
▲ 사명대사 진영 상세, 선사로서의 기품이 느껴진다.

 

엔니에게 지어준 자 허응(虛應) 선승의 붓끝에 실려있는 역동적인 힘이 저절로 느겨진다.
▲ 엔니에게 지어준 자 허응(虛應) 선승의 붓끝에 실려있는 역동적인 힘이 저절로 느겨진다.

 

사명대사가 고쇼지 엔니에게 써 준 벽란도의 시의 운을 빌려 지은 시. 10년 속세의 임무를 정리하고 다시 본래 선승으로 돌아가겠다는 의지가 담겨있다. 이 시를 지어 고쇼지 엔니료젠에게 써 주었고, 지금까지 고쇼지에 고이 간직하고 있다.
▲ 사명대사가 고쇼지 엔니에게 써 준 벽란도의 시의 운을 빌려 지은 시. 
10년 속세의 임무를 정리하고 다시 본래 선승으로 돌아가겠다는 의지가 담겨있다. 
이 시를 지어 고쇼지 엔니료젠에게 써 주었고, 지금까지 고쇼지에 고이 간직하고 있다.

 

사명대사가 고쇼지의 엔니에게 써준 최치원의 시 중 2구절을 족자로 만든 것<br> 畵角聲中朝暮浪 나팔소리 들리고 아침저녁으로 물결이 일렁이는데<br> 靑山影裏古今人 청산의 그림자 속을 지나간 이 예나 지금이나 몇이나 될까
▲ 사명대사가 고쇼지의 엔니에게 써준 최치원의 시 중 2구절을 족자로 만든 것
畵角聲中朝暮浪 나팔소리 들리고 아침저녁으로 물결이 일렁이는데
靑山影裏古今人 청산의 그림자 속을 지나간 이 예나 지금이나 몇이나 될까

 

사명대사가 쓴 옛 최치원의 시 . 사명대사는 고쇼지의 풍광이 속세를 떠난 초연함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다며 최치원의 시를 인용하였다.
▲ 사명대사가 쓴 옛 최치원의 시 . 
사명대사는 고쇼지의 풍광이 속세를 떠난 초연함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다며 최치원의 시를 인용하였다.

 

위는 사명대사가 엔니료젠의 물음에 답을 해주며 써준 글, .아래글은 엔니가 사명대사에게 임제종의 가르침에 대한 자신의 이해를 질문하고 스스로 답으로 정리한 글이다. 엔니는 자신이 깨달음에 대한 이해가 맞는지 사명대사에게 글로 써 보여주고 사명대사의 가르침을 받고자 했다.
▲ 위는 사명대사가 엔니료젠의 물음에 답을 해주며 써준 글, .아래글은 엔니가 사명대사에게 임제종의 가르침에 대한 자신의 이해를 질문하고 스스로 답으로 정리한 글이다. 엔니는 자신이 깨달음에 대한 이해가 맞는지 사명대사에게 글로 써 보여주고 사명대사의 가르침을 받고자 했다.

 

사명대사가 엔니료젠 스님에게 써준 글을 족자로 표구한 것
▲ 사명대사가 엔니료젠 스님에게 써준 글을 족자로 표구한 것

 

사명대사가 승려 엔니료젠에게 자와 도호(道號f)으로 지어 주었다.
▲ 사명대사가 승려 엔니료젠에게 자와 도호(道號f)으로 지어 주었다.

 

엔니료젠 스스로 묻고 스스로 답했던 것을 기록하고, 그 자문 자답에 대하여 사명대사께 확인하고 가르침을 받고자 했던 것을 글로 쓴 두루말이의 첫대목
▲ 엔니료젠 스스로 묻고 스스로 답했던 것을 기록하고, 
그 자문 자답에 대하여 사명대사께 확인하고 가르침을 받고자 했던 것을 글로 쓴 두루말이의 첫대목


조선조 중기 임진왜란 때는 전 국토가 유린당하고 양국의 병사들이 각각 15만 명씩 죽어갔고, 그 외 조선에서는 수십만 명의 백성들이 죽어가는 최악의 국난 시기였다.

 

이러한 억불과 국난 속에서도 깨달음과 자비를 삶의 목표로 삼아 석가모니 부처님의 가르침을 따르고 자 했던 스님이 있다. 바로 사명대사 유정 대사다. 불교탄압 시대에 왕실과 조정에 아무런 불평도 하지 않고, 오로지 일본의 무도한 침략에 당당히 맞서 도탄에 빠진 백성들에게 희망을 주기 위하여 승군을 이끌었던

 

사명당 유정 스님은 전쟁의 마지막 시기에는 국왕의 특사로 외교에도 당당히 나섰다.

 

사명당 유정 스님은 전쟁이 끝난 뒤 일본과의 강화조약에 일본의 담판 상대로 아무도 나서지 않으려는 당시 상황에서 조선의 임금을 대신하여 일본으로 건너갔다. 일본인들의 모질고 다양한 시험을 보살 승의 행적으로 다 이겨내고 오히려 일본인들의 존경 대상이 되었다. 

 

사명당 유정 스님은 강화조약이 마무리된 뒤 일본 곳곳에 붙잡혀 갔던 전쟁포로들 1,391명을 구해오고 약탈해간 많은 문화재도 함께 가지고 돌아왔다.

 

당시 조선왕조실록에 따르면, 조선의 정승 판서들은 임금의 강력한 요구에도 아무도 강화에 앞장서 일본에 가지 않으려 했다고 기록하고 있다. 그러자 선조는 부득이 사명대사를 조선의 대표로 파견할 수밖에 없었다고 당시 상황을 쓰고 있다. 그러나 때 마침 그의 스승이었던 서산대사 휴정 스님이 입적하여, 그의 다비식을 위해 묘향산으로 가던 중이라 선조의 부름에 응할 수 없는 처지였다.

 

하지만, 스님은 개인적인 급한 일을 멈추고 임금의 부름에 응했다. 그런데 사명대사를 조선국의 강화대표로 파견하자 정승 판서 유생들은 벌떼같이 일어나 "유교의 종주국인 조선에서 어떻게 '중'을 대표로 파견할 수 있느냐"며 많은 상소문을 올렸다고 한다.

 

우여곡절 속에 일본에 파견된 사명대사는 교토에 머무는 동안 도쿠가와 이에야스 막부와 전쟁 후 처리를 위해 많은 협상을 하였고, 고쇼지를 창건한 승려 엔니료젠(1559~1619)과 선문답과 부족한 의문점은 필담으로 주고받으며 엔니료젠 스님으로부터 지극한 스승 대접을 받았다.

 

사명대사는 그에게 허응(虛應)이라는 자를 지어주고, 아울러 도호로 무염(無染)을 지어주며 이를 직접 붓을 들어 일필휘지로 자를 써 주었다. 일본 스님 엔니료젠은 감격에 겨워 자신이 살아서 사명대사를 만나게 된 인연을 부처님의 큰 가피로 여겼으며 사명대사로부터 선사로 깨달음을 인정받아 무한한 영광으로 생각하며, 사명대사가 자신을 위해 짓고 써준 글귀와 편지글들을 자신이 창건한 고쇼지의 보물로 고이 간직해와 이번에 유물전을 열게 된 것이다.


  • URL 복사

KBB한국불교방송 방송/신문/매거진 무단 저재 및 재배포 금지

- 상업적 목적의 사용은 허용하지 않습니다.

- 출처 'KBB한국불교방송'을 반드시 표시하셔야 합니다.

KBB한국불교방송은 여러분과 함께 만들어 갑니다.

제보 053-1670-2012

많이 본 매거진

인기 영상

많이 본 신문

KBB 전체 인기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