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매거진 > 화보/출사
URL 복사
조선조 중기 임진왜란 때는 전 국토가 유린당하고 양국의 병사들이 각각 15만 명씩 죽어갔고, 그 외 조선에서는 수십만 명의 백성들이 죽어가는 최악의 국난 시기였다.
이러한 억불과 국난 속에서도 깨달음과 자비를 삶의 목표로 삼아 석가모니 부처님의 가르침을 따르고 자 했던 스님이 있다. 바로 사명대사 유정 대사다. 불교탄압 시대에 왕실과 조정에 아무런 불평도 하지 않고, 오로지 일본의 무도한 침략에 당당히 맞서 도탄에 빠진 백성들에게 희망을 주기 위하여 승군을 이끌었던
사명당 유정 스님은 전쟁의 마지막 시기에는 국왕의 특사로 외교에도 당당히 나섰다.
사명당 유정 스님은 전쟁이 끝난 뒤 일본과의 강화조약에 일본의 담판 상대로 아무도 나서지 않으려는 당시 상황에서 조선의 임금을 대신하여 일본으로 건너갔다. 일본인들의 모질고 다양한 시험을 보살 승의 행적으로 다 이겨내고 오히려 일본인들의 존경 대상이 되었다.
사명당 유정 스님은 강화조약이 마무리된 뒤 일본 곳곳에 붙잡혀 갔던 전쟁포로들 1,391명을 구해오고 약탈해간 많은 문화재도 함께 가지고 돌아왔다.
당시 조선왕조실록에 따르면, 조선의 정승 판서들은 임금의 강력한 요구에도 아무도 강화에 앞장서 일본에 가지 않으려 했다고 기록하고 있다. 그러자 선조는 부득이 사명대사를 조선의 대표로 파견할 수밖에 없었다고 당시 상황을 쓰고 있다. 그러나 때 마침 그의 스승이었던 서산대사 휴정 스님이 입적하여, 그의 다비식을 위해 묘향산으로 가던 중이라 선조의 부름에 응할 수 없는 처지였다.
하지만, 스님은 개인적인 급한 일을 멈추고 임금의 부름에 응했다. 그런데 사명대사를 조선국의 강화대표로 파견하자 정승 판서 유생들은 벌떼같이 일어나 "유교의 종주국인 조선에서 어떻게 '중'을 대표로 파견할 수 있느냐"며 많은 상소문을 올렸다고 한다.
우여곡절 속에 일본에 파견된 사명대사는 교토에 머무는 동안 도쿠가와 이에야스 막부와 전쟁 후 처리를 위해 많은 협상을 하였고, 고쇼지를 창건한 승려 엔니료젠(1559~1619)과 선문답과 부족한 의문점은 필담으로 주고받으며 엔니료젠 스님으로부터 지극한 스승 대접을 받았다.
사명대사는 그에게 허응(虛應)이라는 자를 지어주고, 아울러 도호로 무염(無染)을 지어주며 이를 직접 붓을 들어 일필휘지로 자를 써 주었다. 일본 스님 엔니료젠은 감격에 겨워 자신이 살아서 사명대사를 만나게 된 인연을 부처님의 큰 가피로 여겼으며 사명대사로부터 선사로 깨달음을 인정받아 무한한 영광으로 생각하며, 사명대사가 자신을 위해 짓고 써준 글귀와 편지글들을 자신이 창건한 고쇼지의 보물로 고이 간직해와 이번에 유물전을 열게 된 것이다.
URL 복사
KBB한국불교방송 방송/신문/매거진 무단 저재 및 재배포 금지
- 상업적 목적의 사용은 허용하지 않습니다.
- 출처 'KBB한국불교방송'을 반드시 표시하셔야 합니다.
KBB한국불교방송은 여러분과 함께 만들어 갑니다.
제보 053-1670-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