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B한국불교방송

KBB한국불교방송

HOME > 매거진 > 화보/출사

풍수 종조 도선국사가 창건한 김천 불령산 수도암
작성자
최고관리자
등록일
2020.01.29 12:43
조회수
7,019
  • URL 복사

bf24897d12582108a79c603a0bcb2dd2_1580269405_4389.jpg 

[화보] 풍수 종조 도선국사가 창건한 김천 불령산 수도암

                          

수도암 전경
▲ 수도암 전경

 

수도암 주차장에서 본 요사채
▲ 수도암 주차장에서 본 요사채

 

요사채에서 본 수도암 본전인 대적광전과 약광전 그리고 석탑
▲ 요사채에서 본 수도암 본전인 대적광전과 약광전 그리고 석탑

 

대적광전으로 오르는 길, 위에 석탑과 대적광전이 있다.
▲ 대적광전으로 오르는 길, 위에 석탑과 대적광전이 있다.

 

대적광전으로 오르는 계단
▲ 대적광전으로 오르는 계단

 

대적광전과 석등
▲ 대적광전과 석등

 

대적광전 약광전 앞 석탑과 석등
▲ 대적광전 약광전 앞 석탑과 석등

 

대적광전 앞 삼층석탑, 1층 탑신에는 4면에 부처님이 새겨져 있다.
▲ 대적광전 앞 삼층석탑, 1층 탑신에는 4면에 부처님이 새겨져 있다.

 

대적광전 앞 석등, 화사석이 절반은 깨져 없어져 있던 것을 본래 모습으로 추정 복원 보수하였다.
▲ 대적광전 앞 석등, 화사석이 절반은 깨져 없어져 있던 것을 본래 모습으로 추정 복원 보수하였다.

 

대적광전 앞에서 본 전면 산세와 석등
▲ 대적광전 앞에서 본 전면 산세와 석등

 

대적광전 앞 석등
▲ 대적광전 앞 석등

 

대적광전 내 비로자나불 좌상
▲ 대적광전 내 비로자나불 좌상

 

대적광전 내 석조비로자나불, 석굴암 불상보다 80cm 정도 작다.
▲ 대적광전 내 석조비로자나불, 석굴암 불상보다 80cm 정도 작다.

 

약광전
▲ 약광전

 

약광전 내 약왕보살
▲ 약광전 내 약왕보살

 

나한전
▲ 나한전

 

나한전 나한
▲ 나한전 나한

 

나한전 아라한, 갓을 쓴 한국스님 같은 모습
▲ 나한전 아라한, 갓을 쓴 한국스님 같은 모습

 

나한전 벽화, 파초잎에 앉아 향을 피우며 수도하는 모습의 아라한
▲ 나한전 벽화, 파초잎에 앉아 향을 피우며 수도하는 모습의 아라한

 

나한전 벽화, 산신령 처럼 호랑이를 거느린 아라한
▲ 나한전 벽화, 산신령 처럼 호랑이를 거느린 아라한

 

[글] 경북 김천시 증산면에는 부처님의 신령스움이 깃든 불령산(佛靈山) 수도암(修道庵)이 있다.  수도암은 신라 후기인 859년(헌안왕 3년) 한국의 풍수지리학을 체계화한 풍수종조 도선국사가 창건한 절이다. 도선국사는 수도암을 창건하기 전 수도암 뒤에 청암사를 창건하고 수도하던 중, 멀지 않은 이곳을 찾게 되었는데, 좌청룡 우백호 남주작 북현무로 편안한 산세가 이곳을 중심으로 잘 짜여진 지형에 감탄하고, 이곳에서 수행을 한다면 수행자들이 깨달음을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하고 수도암을 창건하였다.

 

이후 많은 수도승들이 거쳐갔는데, 고려를 지나 조선조에 이르러 인조27년(1649년) 벽암 각성스님이 중창하였다. 첩첩산중 깊은 산속에 위치하여 세상과 동떨어져 오직 깨달음을 구하기 위하여 수도승들이 도를 닦으며 이어오던 암자는 조선 말 동학혁명을 거치면서 세상과 만나게 되었고, 그 과정에 전각의 일부가 소실되었다. 그 뒤 1950년 한국전쟁 때 산속에 숨은 빨치산 소탕작전으로 수도암 전각들이 모두 불에 타고 말았다.

 

이런 우여곡절을 겪은 뒤, 1960년 이후 대적광전, 약광전, 요사채, 나한전 등을 다시 짓고 현재의 모습이 되었다. 수도암은 깊은 산속에 있으면서도 경사지를 활용하여 계단식으로 단을 지어 꽤 넓은 대지를 조성하였으며, 그 맨 위에 있는 불전인 대적광전과 약광전을 높은 위치에 앉히고, 그 아래에는 요사채를 배치하여 경사진 대지를 매우 적절하게 활용하였다.

 

주불전인 대적광전 앞 마당에서 산세를 살펴보면 앞으로 멀리 보이는 산들이 수도암의 안산이 되어 장식하는 듯한 모습이고, 주변 산세는 풍수적으로는 좌청룡 우백호 모습으로  암자가 있는 곳을 산들이 아늑하게 감싸보호하고 있는 모습이다.

 

수도암 대적광전에는 석조 비로자나불 좌상이 있는데, 이 불상은 석굴암보다 80cm정도 작은 불상으로 건물 안에 모셔진 불상으로는 매우 큰 불상이다. 대적광전에는 협시보살 없이 이 불상만이 모셔져 있으나, 불상의 규모가 매우 커 전각을 가득 채우고 있는 듯 크게 느껴진다. 

 

이 불상은 9세기 경남 거창 가북면 북석리에서 제작되었다고 하며, 불상을 제작한 뒤 운반하기 위하여 고심하던 중 한 노승이 나타나 불상을 단번에 등에 업고 이 곳 암자까지 이르렀다. 그런데 스님이 불상을 업고 이곳 수도암에 이르렀는데, 당시 첩첩산중으로 산에는 온통 칡덩굴이 가득차서 걷기가 힘들어 결국 칡당굴에 걸려 넘어졌다고 한다.

 

그러자 노승은 불령산 산신령을 불러 크게 꾸짖고 칡덩굴을 모두 없애버리도록 하였다. 그런 일이 있은 뒤, 산신령의 도움인지 수도암 근처에는 칡덩굴이 모두 없어졌다는 설화가 남아있다.  수도암에는 또 하나의 석조불상이 있는데 이는 약광전 내 석불이다.

 

이 불상은 수도암을 창건한 도선국사가 조성한 불상이라 전하는데, 머리에 보관을 쓴 약왕보살이다. 약왕보살은 중생의 몸과 마음이 병으로 시달리는 사람들의 모진병을 치료하기 위하여 서원을 한 보살로, 그 영험함이 전해오고 있어 지금도 병고에 시달리는 많은 사람들이 많이 찾고 있기도 하다.

 

수도암의 비로자나불과 약왕보살은 석조로 된 불보살로 전각의 화재에도 그 모습이 온전한 모습으로 남아 있어 참으로 다행스럽다. 돌로 된 석조는 불에 직접 타지는 않지만, 뜨거운 불속에 들어가면 돌은 표면이 팽창하고 튀기 쉽상인데, 화재로 전각이 불타는 일이 있었음에도 이처럼 온전한 모습을 하고 있는 것은 매우 특이한 일로 생각된다.

 

수도암의 또 다른 보물로는 대적광전과 약광전 앞에 있는 삼층석탑 2기와 석탑사이에 있는 석등이다. 삼층석탑은 도선국사가 베틀의 기둥을 상징한다는 뜻으로 2기를 세웠다고 한다. 삼층석탑 2기는 전체적으로  큰 손상이 없다. 수도암 삼층석탑은 동측석탑은 높이 3.76m  서측석탑은 높이 4.25m로 함께 보물 제297호로 지정되었다.

 

동석탑과 서석탑 사이에 있는 석등 또한 같은 시기에 제작된 것으로 보이나, 아쉽게 문화재로 지정되지는 않았다. 그러나 그 가치는 충분해 보인다. 이 석등은 신라 후기 석등의 전형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전체적 평면은 8각형이며, 입면상으로는 석등을 받치는 대좌와 석등을 받드는 간주석 그리고 석등의 가장 중요한 화사석이 있고, 그 위에는 지붕처럼 옥개석이 있으며, 그 지붕을 마무리하기 위한 연꽃 봉우리 모양의 상륜이 있다.

 

수도암 경내 아래 언덕배기에는 석가모니의 제자로 깨달음에 이른 아라한들을 모신 나한전이 있는데, 나한전에는 16명의 보통사람 모습을 한 아라한들이 모셔져있다. 사람으로 태어나 부처님을 만나고 또 수도하여 도를 이루는 것이야말로 불교에서 말하는 깨달음의 경지인데, 그 깨달음을 이룬 사람들을 존경하기 위하여 지은 전각이 나한전이다. 나한전에 모셔진 아라한들의 모습은 보통사람들의 모습이어서 더욱 친근감을 느끼게 한다.

 

  • URL 복사

KBB한국불교방송 방송/신문/매거진 무단 저재 및 재배포 금지

- 상업적 목적의 사용은 허용하지 않습니다.

- 출처 'KBB한국불교방송'을 반드시 표시하셔야 합니다.

KBB한국불교방송은 여러분과 함께 만들어 갑니다.

제보 053-1670-2012

많이 본 매거진

인기 영상

많이 본 신문

KBB 전체 인기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