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B한국불교방송

KBB한국불교방송

HOME > 신문 > 불교/종단

종교의 비민주적 탄압이 민주국가 대한민국의 인권 우려를 높이다
작성자
최고관리자
등록일
2019.12.27 11:37
조회수
2,864
  • URL 복사

b700f72d2788fdb1ffaa3f3cc78c3a5b_1577414220_8915.jpg 

NYT “강제개종금지” 광고를 보고있는 뉴욕 시민


이 개종 교육의 피해자인 구지인 씨는 수 개월 간 카톨릭 수녀원과 펜션이라는 두 장소로 가족에 의해 끌려갔다. 가족의 종교적 배경은 한국 기독교의 주류 교단인 장로교이지만 카톨릭 관계자가 허가한 이 카톨릭 공간은 반인권 범죄로 사용되었다. 이러한 강제적 개종은 사망과 전쟁 같은 정신적 트라우마로 1,000명의 피해자를 넘어섰다.

정의의 회복을 위해 지난 1월 12만 명의 사람들이 서울에서 시위하며 부모에게 자녀들을 납치하도록 유도하며 개종하도록 강제로 협박하는 “강제 개종 교육”을 만드는 기독교 목사에 의한 범죄 행위에 대한 처벌을 요구했다.

목사들은 직접적인 폭력에 개입하지 않음으로써 형법을 피하고 부모에게서 금전적 이득을 갈취한다. 현재까지 한국 정부는 이에 대한 공식적 성명을 발표하지 않고 있다.

5c3e913ce72b0.jpg
강제개종프로그램 금지를 촉구하는 12,000명의 사람들이 서울 중심에 모였다


범죄의 온상이 된 한국의 주류 기독교

대한민국의 사회 및 정치적 영향력은 시민의 권리를 무시하게 만들었다. 1989년 주류 장로교를 중심으로 한 기독교 교회들의 통합 조직으로서 한기총이 설립되었다. 수 백만의 신도들을 통해 한기총은 대통령 선거에 영향력을 발휘하고, 사회 및 경제적 권력에 대한 통제를 위한 이단 정죄에 나섰다. 지난 10년간 한국의 언론은 종종 한기총의 부패를 보도해왔다.

한기총 논란은 국가의 사회 분열은 물론 세계적 분쟁에 대한 우려까지 낳았다. 일제 식민지 시기 장로교는 일본이 아시아와 태평양에서 일으킨 전쟁에 한국의 청년들을 참여시키도록 유도했다. 1938년 장로교는 헌금을 모아 무기를 구매하고 이것이 “조선의 기독교인으로서 하나님이 주신 명령”이라고 주장했다.

1970년대 군사 독재 후원 하에 이러한 전통은 반평화 슬로건으로 변형되었다. 최근 한기총 회장은 박근혜 전 대통령의 퇴진을 위해 서울 광장에 모여 촛불 시위를 한 시민들을 “벼룩”(곤충)이라 하였고, “예수님의 이름으로 공산주의자 문재인의 몰락”을 위해 기도회를 열었다.

한기총에 의해 열린 기도회에서는 세계 질서의 위협이 될 전쟁을 조장하며 국제사회의 규범에 반하는 언행도 서슴지 않았다. 박근혜 정부의 전임 관료는 “대한민국의 안녕을 위해 핵무장을 해야한다”고 말했다. 


종교의 책임과 역할에 의문을 던지다

노엘 말릭 이탈리아 파키스탄 소수연합 대표는 “그러한 행동을 하는 교단은 기독교인이 아니다. 그들은 극단주의자며 반기독교인이다. 그들에게 묻고 싶다. 성경 어느 장과 절에서 그러한 나쁜 행동을 하라고 되어있나? 성경에서 말하지 않는 것이라면, 왜 그런 행동을 하는가?”라고 강조했다.

사무엘 샘 수마나 시에라리온 전 부통령은 “정부는 강제 개종에 대한 명확한 정책과 법률을 개발하도록 장려되고 지원되어야 하며 정책과 법률은 확실하게 시행되어야 한다” 고 말했다.

그는 덧붙여 “또한 중요한 것은 같은 지역의 여러 국가가 이러한 권리 침해를 추적하고 다룰 수 있는 협력과 노력이 수립되고 수행되어야 한다는 것이다”라고 밝혔다.

강제개종피해인권연대 최지혜 공동대표는 "지난 1월 구지인 씨가 사망한 이후에도 강제 개종 피해 사례는 집계된 것만 137건이다. (10월 말 기준) 이는 한국 교회 목회자들이 한 생명의 죽음을 얼마나 가볍게 보는지 보여주는 것"이라며 "한국에서 벌어지고 있는 강제 개종이 근절되기 위해 국제적인 관심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5c3e915b48ac0.jpg

반인권적 강제 개종 프로그램의 희생자를 추모하는 “리멤버 구” 페이스북 페이지


이근호 기자 spd1313@naver.com

 

 

  • URL 복사

KBB한국불교방송 방송/신문/매거진 무단 저재 및 재배포 금지

- 상업적 목적의 사용은 허용하지 않습니다.

- 출처 'KBB한국불교방송'을 반드시 표시하셔야 합니다.

KBB한국불교방송은 여러분과 함께 만들어 갑니다.

제보 053-1670-2012

많이 본 매거진

인기 영상

많이 본 신문

KBB 전체 인기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