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B한국불교방송

KBB한국불교방송

HOME > 매거진 > 화보/출사

세계문화유산 태화산 마곡사(麻谷寺)에서
작성자
최고관리자
등록일
2020.01.29 12:17
조회수
4,906
  • URL 복사

bf24897d12582108a79c603a0bcb2dd2_1580267815_583.jpg 


KBB불교방송 오늘의 불교 화보 세계문화유산 태화산 마곡사(麻谷寺)에서


마곡사 경내 모습, 오층석탑이 특이하다.
▲ 마곡사 경내 모습, 오층석탑이 특이하다.

 

마곡사 중심인 대광명전 앞 모습, 중정에는 오층석탑이 있다.
▲ 마곡사 중심인 대광명전 앞 모습, 중정에는 오층석탑이 있다.

 

마곡사오층 석탑과 주변 전각들
▲ 마곡사오층 석탑과 주변 전각들

 

마곡사 오층석탑의 상륜부 모습, 라마탑의 모습이 그대로 있다.
▲ 마곡사 오층석탑의 상륜부 모습, 라마탑의 모습이 그대로 있다.

 

대광명전 내 비로자나불
▲ 대광명전 내 비로자나불

 

대광명전 내부 모습
▲ 대광명전 내부 모습

 

중층으로 된 마곡사 대웅보전
▲ 중층으로 된 마곡사 대웅보전

 

대웅보전 내부 모습
▲ 대웅보전 내부 모습

 

대웅보전 내 석가모니불
▲ 대웅보전 내 석가모니불

 

마곡사 나한전
▲ 마곡사 나한전

 

나한전 내부 모습, 중앙에는 부처님이 있고, 좌우로는 16나한이 모셔져있다. 나한이란 아라한의 줄임말로, 인간으로써 가장 높은 깨달음을 얻은 사람들을 높여 부르는 명칭.
▲ 나한전 내부 모습, 중앙에는 부처님이 있고, 좌우로는 16나한이 모셔져있다. 나한이란 아라한의 줄임말로, 인간으로써 가장 높은 깨달음을 얻은 사람들을 높여 부르는 명칭.

 

나한전 내 금동 나한상, 나한은 부처님의 수제자로 깨달음을 얻은 사람을 부르는 말이다. 부처님이나 보살과는 달리 보통사람들의 모습이다.
▲ 나한전 내 금동 나한상, 나한은 부처님의 수제자로 깨달음을 얻은 사람을 부르는 말이다. 부처님이나 보살과는 달리 보통사람들의 모습이다.

 

백범 김구선생이 명성황후시해사건(을미사변) 뒤 일본 낭인을 처치하고 인천 감옥에 갇혔다가 탈출한 뒤 잠시 마곡사에 머물면서 거처했던 건물, 백범당(白凡堂)이란 현판이 걸려있다.
▲ 백범 김구선생이 명성황후시해사건(을미사변) 뒤 일본 낭인을 처치하고 인천 감옥에 갇혔다가 탈출한 뒤 잠시 마곡사에 머물면서 거처했던 건물, 백범당(白凡堂)이란 현판이 걸려있다.

 

백범 김구선생이 쓴 행복(幸福), 백범당 앞에 걸려있는 액자 "대한민국 29년 10월 임시정부 주석 백범 김구"라고 썼다.
▲ 백범 김구선생이 쓴 행복(幸福), 백범당 앞에 걸려있는 액자 "대한민국 29년 10월 임시정부 주석 백범 김구"라고 썼다.

 

마곡사 경내 중심에 있는 오층석탑
▲ 마곡사 경내 중심에 있는 오층석탑

 

지옥의 중생들을 구제한다는 지장보살과 지옥의 십대왕을 모신 명부전, 사찰에서 죽은이의 극락왕생을 위하여 재를 지내는 곳이 명부전이다. 명부전에는 지장보살이 주존불로 모셔져 있고, 좌우로는 각각 5명의 지옥대왕이 도열하고 있는데, 지옥의 모든 중생들을 제도할 때 까지 성불을 하지 않겠다는 서원을 세운 지장보살의 큰 뜻을 담고 있다.
▲ 지옥의 중생들을 구제한다는 지장보살과 지옥의 십대왕을 모신 명부전, 사찰에서 죽은이의 극락왕생을 위하여 재를 지내는 곳이 명부전이다. 명부전에는 지장보살이 주존불로 모셔져 있고, 좌우로는 각각 5명의 지옥대왕이 도열하고 있는데, 지옥의 모든 중생들을 제도할 때 까지 성불을 하지 않겠다는 서원을 세운 지장보살의 큰 뜻을 담고 있다.

 

지옥 중생들이 모두 구제될 때 까지 성불을 미룬 지장보살이 가운데 있고, 좌우에는 그를 따라 중생을 구하는데 도움을 주는 도명존자와 무독대왕
▲ 지옥 중생들이 모두 구제될 때 까지 성불을 미룬 지장보살이 가운데 있고, 좌우에는 그를 따라 중생을 구하는데 도움을 주는 도명존자와 무독대왕

 

명부전 내부 지옥을 다스리는 대왕들
▲ 명부전 내부 지옥을 다스리는 대왕들

 

하늘을 나는 용을 움켜쥐고 여의주로 희롱하는 남쪽의 수호신 증장천왕
▲ 하늘을 나는 용을 움켜쥐고 여의주로 희롱하는 남쪽의 수호신 증장천왕

 

청사자를 탄 문수보살
▲ 청사자를 탄 문수보살

 

충남 공주시에 있는 마곡사는 640년 백제 무왕 41년 신라의 고승 자장율사가 창건했다고 전해온다. 당시는 백제땅이었을 것인데, 어찌 신라의 고승이 창건했는지 의구심이 들기도 하지만, 마곡사지에는 그렇게 기록되어있다. 신라말에는 도선국사도 중수에 힘을 보탰으며, 이후 고려 명종때인 1172년 교종과 선종을 통합하려 힘쓰며 정혜쌍수를 주창한 보조국사 지눌이 거하면서 중수하였다고 한다.  조선조에는 세조가 마곡사에 들러 영산전 편액을 써준 일도 있다.

 

신라 통일기 자장율사가 창건 당시에도 마곡사는 주존건물이 30여칸의 불전이 있는 큰절이었으며, 현재는 중심에 비로자나불이 모셔진 대광보전(보물 제802호),이 있고, 경내에는 근세에 지어진 대웅보전, 조선 중기에 지어진 영산전(보물 제 800호), 사천왕문, 해탈문 등과, 대광보전 앞에는 오층석탑(보물 제 799호)와 범종, 괘불, 세조가 탔던 가마, 청동향로 등 많은 문화재도 있다.  많은 보물 중 사찰 경내 중심에 있는 오층석탑은 다른 절에서는 보기 어려운 특이한 형식의 탑이기도 하다. 또 대광명전의 뒷편 언덕 위에는 중층으로된 대웅보전이 있는데, 한국의 절들을 답사해보면, 대부분 부처님을 모신 전각들이 1층인데 10손가락에 들 정도로 드물게 중층전각이 있는데 마곡사 대웅보전은 그 10손가락에 드는 절이다.

 

마곡사의 중심부 중정에 있는 오층석탑은 2층 석조기단 위에 각층에는 탑신석과 옥개석으로 이루어진 5층의 탑이 있고, 그위에 청동으로 이루어진 상륜부가 있다. 그런데 이 청동제 상륜부는 티벳에서 유래한  라마탑 형식의 탑으로, 고려말 원나라시기에 원나라가 티벳불교를 받아들여, 몽골지방에 유행하던 탑모양의 영향을 받아, 고려 후기에 세워진 마곡사탑에도 라마탑의 모양을 상륜부에 올려놓은 것이다.

 

이러한 양식의 탑은 세계적으로도 매우 희귀한 예로 한국에는 유일한 탑이다. 이 탑의 각층 탑신에는 많은 조각상이 섬세하게 조각되어있어 그 귀함을 느낄 수 있는데, 오랜세월 동안 전란을 거치면서 탑신과 옥개석에 손상된 부문이 많이 있어 안타깝다.

 

더구나 임진왜란을 거치면서 탑안의 보물들도 모두 도난당한 것으로 알려졌으나, 1972년 해체수리하는 과정에서 탑속에서 동으로 된 향로와 문고리가 발견되어 그나마 다행이다. 탑이란 본래 부처님의 무덤에 해당하는 것으로, 부처님을 다비한 뒤에 나온 오색찬란한 사리를 부처님 대신 모시고자 하여 생긴 조형물로, 그 신성함을 귀하게 여겨 아름답고 높게 만들어 세웠다.

 

따라서 각 나라마다 자기나라 나름대로 가장 멋진 모습으로 구조물을 지어서, 그 안에 사리를 모셨는데, 귀한 사리를 그냥 넣은 것이 아니라, 영롱한 수정유리 용기에 넣고, 다시 금으로된 함을 만들어 넣고, 사리를 모시게 된 사연을 자세히 써 넣어 그 귀함을 후세에 알렸다. 따라서, 마곡사 오층석탑도 도난되기 전에는 사리를 모신 금제사리함과 수정유리그릇과 그 안에는 영롱한 사리들이 있었을 것이다.

 

이런 마곡사에는 백범 김구  선생이 한때 머물렀던 백범당이 있다. 백범은  조선말 고종의 비였던 명성황후를 시해한 일본낭인을  처단하고 이곳에 숨어들어 잠시 지냈던 적이 있다.  백범은 일본낭인을 처치한 후 붙잡혀 당시 인천교도소에 수감 중, 탈옥하여 이곳 마곡사에서 스님으로 위장 생활을 하다가 중국으로 탈출하여 독립운동에 투신하였다. 지금은 백범이 머물던 대광명전 앞에 "백범당"이 남아 백범선생의 자취를 전하고 있다.

 

 마곡사는 한국의 많은 고찰 중에서도 그 역사성과 문화유산적 가치가 특별히 인정되어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어 세계인이 더 많이 찾는 명소가 되었다. 마곡사란 명칭은 부처님의 가르침에 귀의하여 깨달은 사람들이 골짜기에 가득하여 마치 빽빽한 삼밭계곡(麻谷)같다는 뜻이라고 하는데, 이제 세계인들이 찾아 경내가 사람으로 빽빽한 곳이 되었다. 

 

유명한 절이 되어가는 것도 좋지만, 절을 찾는 이들이 절의 역사와 유래를 넘어, 석가모니부처님의 행적과 그 가르침에 대해 잠시나마 관심을 가지고, 그가 설파한 진리에 대하여 의심을 품어보고 진정한 깨달음이란 무엇인가를 느껴본다면 뜻깊은 여행이 되지 않을까 싶다.


 

  • URL 복사

KBB한국불교방송 방송/신문/매거진 무단 저재 및 재배포 금지

- 상업적 목적의 사용은 허용하지 않습니다.

- 출처 'KBB한국불교방송'을 반드시 표시하셔야 합니다.

KBB한국불교방송은 여러분과 함께 만들어 갑니다.

제보 053-1670-2012

많이 본 매거진

인기 영상

많이 본 신문

KBB 전체 인기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