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B한국불교방송

KBB한국불교방송

HOME > 매거진 > 칼럼/기고/봉사

2025년 을사년 정월 보름 서남사 삼재풀이 기도 및 나옹왕사 탄신 705주년 다례재 봉행
작성자
최고관리자
등록일
2025.02.04 10:35
조회수
140
  • URL 복사

2c775c7ecbe997ab380059de68bac373_1738632726_3708.jpg 

獻茶一盌香一片(헌차일완향일편)

차 한 잔과 향 한 조각 올립니다.


玄禪者求偈(현선자구게) 

현선자가 게송을 청하다 

叅禪須要信爲先(참선수요신위선) 

참선에는 무엇보다도 신심이 으뜸이니

快做工夫更着鞭(쾌주공부갱착편) 

씩씩하게 공부하되 채찍을 더하라

不覺疑圑成粉碎(불각의단성분쇄) 

어느 곁에 의심덩이가 가루가 되면

泥牛耕破劫初田(니우경파겁초전) 

진흙소가 겁초(劫初)의 밭을 갈리라

2c775c7ecbe997ab380059de68bac373_1738632780_9417.jpg
불기 2569년 을사년 정월 보름은 나옹왕사 탄신 705주년이다. 매년 봉행하는 탄신 추모법회에 금년에도 방편불사 삼재풀이에 동참한 서남사 신도 분들과 차 한 잔 올려 드리고자 한다. 올 해는 왕사의 탄생 705주년 맞아 지난 2009년부터 시작된 나옹왕사의 사상과 업적을 선양(宣揚)하고 왕사의 중생구제의 원력행을 본받아 소승이 전법도생의 도량으로 포항교도소와 청송교도소 법회 그리고 영덕 해맞이조기축구회 등 그 밖에 왕사의 활구(活句)를 정리하여 묶은 내용을 정리하여 드러내고자 한다.

2c775c7ecbe997ab380059de68bac373_1738632812_9874.jpg
2c775c7ecbe997ab380059de68bac373_1738632812_0557.jpg
그간 영덕불교사암연합회원스님들과 함께 전국의 왕사의 수행처를 답사하고 왕사의 깨달음의 게송을 정리하고 또한 돈오일문의 대승불교 일불회와 나옹왕사 전국 선양회에서 탄신 다례재 봉행을 합동으로 추진하려 하였으나 탄생하신 정월보름은 전국의 각 사찰 사중에서 동안거 회향법회나 삼재풀이와 방생법회가 겹쳐 매년 함께 봉행하지 못한 아쉬움이 있다. 금 번 소승이 정리하고 있는 『나옹왕사와 전법도생』을 마무리하고 지역스님들과 소승과 인연있는 스님들과 함께 지난 1939년부터 미국 보스턴미술관에 모셔져 있던 나옹왕사의 사리가 100년 만에 환지본처(還至本處)하여 회암사에 봉안되어 있어 사리 친견법회를 합동으로 추진 봉행하고자 한다.

2c775c7ecbe997ab380059de68bac373_1738632842_1776.jpg
지난 해 5월19일 양주 회암사지에서 봉행된 회암사 사리이운 다례재에 사부대중 5000여 명이 운집하여 여법한 법회가 봉행되었는데 나옹왕사의 탄생지 김광열 영덕군수님께서 초대 받아  환지본처한 불조사리를 함께 친견하게 되었다. 소승 역시 신도 분들과 5월31일 양주시립회암사지박물관에서 친견하고 회암사지와 회암사 부처님을 참배하고 삼 화상 부도탑에 합장의 예를 갖추고 왕사의 깨달음의 법향을 이심전심하였다.  회암사 불조사리 1000일 친견법회에 함께 하는 마음으로 반연된 스님들과 신도 분들 일심으로 동행하고자 한다. 

2c775c7ecbe997ab380059de68bac373_1738632858_2616.jpg
아래 게송은 시중 행촌 이암에게 주는 활구(活句)와 나옹왕사의 법손이며 무학대사의 제자인 함허득통(1376∼1433)의 차 한 을 통한 이심전심(以心傳心)의 활구(活句)를 왕사께 올리고자 한다. 


示杏村李侍中巖(시행촌이시중암)

大地春廻刹刹融(대지춘회찰찰융) 

대지에 봄이 돌아와 세계마다 풀렸는데

杏花村裏景無窮(행화촌리경무궁) 

살구꽃 마을(杏花村)속에 경치가 무궁하다

南來燕語通閑室(남래연어총한실) 

남쪽에서 온 제비는 지저귐은 한가한 방안에 드는데

北往鴻聲透靜空(북왕홍성투정공) 

북쪽으로 가는 기러기 소리는 고요한 하늘을 뚫는다.

 

一椀茶出一片心(일완다출일편심) 

한 잔의 차에 한 조각 마음이 나오니

一片心在一椀茶(일편심재일완다) 

한 조각 마음이 차 한자에 담겼네

當用一椀茶一嘗(당용일완다일상) 

자, 이 차 한 잔 마셔보시게

一嘗應生無量樂(일사응생무량락) 

한 번 맛보면 근심 걱정 사라지고 

무량광 무량수를 얻어리라.


나무나옹왕사 마하살...


불기2569년 을사년 나옹왕사 탄생일을 앞두고

영덕불교문화원장 나옹문도회장 철학박사 覺呑 현담合掌 焚香


  • URL 복사

KBB한국불교방송 방송/신문/매거진 무단 저재 및 재배포 금지

- 상업적 목적의 사용은 허용하지 않습니다.

- 출처 'KBB한국불교방송'을 반드시 표시하셔야 합니다.

KBB한국불교방송은 여러분과 함께 만들어 갑니다.

제보 053-1670-2012

많이 본 매거진

인기 영상

많이 본 신문

KBB 전체 인기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