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B한국불교방송

KBB한국불교방송

HOME > 매거진 > 불교설화

[불교설화] 향천사의 유래
작성자
최고관리자
등록일
2022.02.24 09:00
조회수
7,844
  • URL 복사

76c1588038126c99c7b02f4ef445360f_1645601302_0708.jpg
 

오늘 소개해드릴 불교설화대사전 전설편 “향천사의 유래” 이야기입니다. 


백제 의자왕때다.

칠척 키에 인물이 준수하며 법의에 뛰어난 보조국사 의각스님이 있었다.

스님은 평소 반야심경을 늘 지송했다. 스님이 중국에서 공부할 때였다.

취침에 들려던 혜의스님은 밖에서 심광이 일고 있음을 보았다.


「아니 이 밤중에 웬빛일까?」


놀란 혜의스님은 선뜻 문을 열지 못하고 창틈으로 엿보았다.


「저곳은 의각스님 방이 아닌가.」


의각스님은 방에 단정히 앉아 반야심경을 독송하고 있는데 경구가 입에서 밖으로 흘러나을 때마다 광명이 솟아 나오고 있었다. 이튿날 의각스님은 대중을 모아 놓고 말했다.


간밤에 내가 눈을 감고 반야심경을 백번 외우고 눈을 떠보니 사방 벽이 뚫린 듯 뜰 밖까지 훤히 보이더군요. 웬일인가 싶어 자리에서 일어나 벽을 만져 보았으나 벽과 창이 모두 달려 있어 다시 앉아서 경을 외웠는데 역시 뜰 밖이 보였습니다. 이는 반야의 부사의한 묘용이라고 생각합니다.」


대중들은 반신반의 하는 표정으로 서로 얼굴을 쳐다볼 뿐 아무도 입을 열려하지 않았다. 이때 혜의스님이 일어나 간밤에 본 사실을 이야기 했다.

그 후 의각스님은 더 이상 중국에 머물 것이 아니라 고국에 돌아가 불법을 널리 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대중 포교의 원력을 세운 의각스님은 주먹보다 조금 더 큰 석불상 삼천오십삼위와 삼존불상을 모시고 지금의 충청도 예산 땅에 도착했다. 스님은 모시고 온 불상을 봉안키 위해 명당을 찾아 이리저리 둘러보았다.


이때였다.


어디선가 황금빛 까마귀 한마리가 스님의 머리 위를 맴돌면서「까악까악」울어 댔다.


「오라, 네가 절터를 안내하겠단 말이지. 그래 내 따라갈 터이니 어서 앞장서거라.」


스님의 말귀를 알아차린 듯 까마귀는 얕게 떠서 서서히 날기 시작했다. 얼마 후 까마귀는 덕봉산 기슭에 내려앉았다. 스님은 그 자리에 절터를 닦기 시작했다. 어느새 인근 마을에는 소문이 자자했다.


「중국에 다녀오신 큰스님이 우리 마을에 절을 세우고 삼천불을 모신다지요?」 


「우리 마을의 경사가 아니고 뭐겠어요. 작은 힘이지만 우리 모두가 뜻을 모아 법당이 속히 완성토록 불사에 동참하도록 합시다.」


마을 사람들은 너도나도 정성이 담긴 시물을 의각스님에게 전했다. 어느 날 아침, 떠꺼머리 총각이 의각스님을 찾아왔다.


「아직 이른 시각인데 어쩐 일로‥‥」


「벌써부터 스님을 뵙고 싶었습니다. 그러나 집안이 너무 가난하여 시물을 마련치 못해 망설이다 오늘 용기를 내어 이렇게 빈손으로 올라왔습니다. 있는 힘을 다하여 흙을 파내고 나무를 나르는 등 불사 일을 돕고자 하오니 허락하여 주십시오.」


「참으로 고맙소. 부처님께 올리는 공양이란 시물보다 마음이 더 중요한 것이라오. 나를 만나고 싶고 법당을 세우는 이 현장에 오고 싶은 그 마음엔 벌써 불심이 가득했으니 부끄러워 말게나.」


「스님, 제게는 몸져누워 계신 노모님이 계시옵니다. 이 몸 장가도 들지 못하여 변변히 모시지 못하니 불효가 크옵니다. 법당이 완성되면 제 모친의 병환이 속히 완쾌되길 부처님께 간곡히 기도 올리려 합니다.」


「그대의 효심이 그리 장한데 어찌 기도가 성취 되지 않겠소.」


스님은 그 총각에게 반야심경을 수지 독송토록 일러줬다. 종일 일하면서 한줄한줄 외우기 시작하여 어느새 총각은 반야심경을 줄줄 독송하게 됐다

그는 아침·저녁으로 어머님 머리맡에 앉아 반야심경을 외우며 병환에 차도가 있길 기원했다. 법당 낙성식이 거행되는 날이었다. 많은 사람들은 새 옷으로 갈아입고 모두 새 절로 향했다. 떠꺼머리 총각도 그날은 깨끗한 옷으로 몸을 단정히 하고 어머니께 다녀오겠다는 인사를 올렸다.


그때였다.


「얘야, 나 좀 일으켜다오. 나도 법당 낙성식에 가서 부처님을 뵙고 싶구나.」


「어머님, 아니 되옵니다. 그대로 누워 계세요. 저 혼자 다녀오겠어요.」


「아니다. 이상스럽게 오늘 아침 몸이 아주 가볍구나.」


어머니 청에 못이겨 아들이 손을 내밀자 총각의 어머니는 언제 아팠느냐는 듯 거뜬히 일어났다. 떠꺼머리 총각은 자신의 눈을 의심 했다.


어머님, 부처님께서 제 소원을 들어 주셨어요.」


기뻐 어절 줄 몰라하며 부둥켜 앉고 울던 모자는 삼월의 햇살을 받으며 낙성식에 참석했다. 오랫만에 길을 걸어 갈증을 느낀 노파는 법당 옆 약수를 마시며 고개를 갸우뚱하더니 아들에게 물을 권했다. 약수에서는 전날과 달리 그윽한 향기가 풍겼다. 이를 확인한 스님은 그날 낙성식에서 절 이름을 향천사라 명했다. 그리고 덕봉산은 금 까마귀가 안내했다 하여 금조산으로 고쳐 불렀다.


훗날 마을 사람들은 의각스님이 처음 배를 댄 곳을 배논이라 불렸고, 스님이 타고 온 배가 포구에 닿았을 때 어디선가 한밤중에 은은한 종소리가 들렸다 하여 마을 이름을 종성이라 명했다. 또 그 바닷가는 석주포라고 했으며 황소가 돌부처를 실어 나른후 바위를 고함바위라 부른다. 지금도 향천사 극락전에는 1053 위의 부처님이 계신다.


<한국사찰전서>

  • URL 복사

KBB한국불교방송 방송/신문/매거진 무단 저재 및 재배포 금지

- 상업적 목적의 사용은 허용하지 않습니다.

- 출처 'KBB한국불교방송'을 반드시 표시하셔야 합니다.

KBB한국불교방송은 여러분과 함께 만들어 갑니다.

제보 053-1670-2012

많이 본 매거진

인기 영상

많이 본 신문

KBB 전체 인기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