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B한국불교방송

KBB한국불교방송

HOME > 매거진 > 화보/출사

서해로 뻗은 변산반도 우금바위 아래 개암사
작성자
최고관리자
등록일
2020.08.18 09:40
조회수
5,976
  • URL 복사

5537c47aa77b9a113df902546cff996c_1597710415_1942.jpg
 



개암사 일주문, 어느 절에 못지 않게 화려하고 크다
▲ 개암사 일주문, 어느 절에 못지 않게 화려하고 크다

 

개암사 일주문 현판. 능가산 개암사
▲ 개암사 일주문 현판. 능가산 개암사

 

계곡사이에 놓인 개암사 극락교
▲ 계곡사이에 놓인 개암사 극락교

 

개암사 사천왕문
▲ 개암사 사천왕문

 

개암사 사천왕, 증축된 후 아직 단청이 칠해지지 않았다.
▲ 개암사 사천왕, 증축된 후 아직 단청이 칠해지지 않았다.

 

새로게 건립한 개암사 대웅전 앞 누각, 아직 누각의 이름이 없어 아쉬웠다.
▲ 새로게 건립한 개암사 대웅전 앞 누각, 아직 누각의 이름이 없어 아쉬웠다.

 

능가산 우금바위와 개암사 대웅보전, 절의 배치면적으로 보아 규모가 아쉬웠다. 본래 개암사는 중층에 정면5칸 측면 4칸의 큰 건물이었을 듯.
▲ 능가산 우금바위와 개암사 대웅보전, 절의 배치면적으로 보아 규모가 아쉬웠다. 본래 개암사는 중층에 정면5칸 측면 4칸의 큰 건물이었을 듯.

 

원효스님이 수도 했다는 원효방이 있고, 그 안에 젓처럼 마르지 않고 그 맛이 단 샘물이 있다는 울금바위
▲ 원효스님이 수도 했다는 원효방이 있고, 그 안에 젓처럼 마르지 않고 그 맛이 단 샘물이 있다는 울금바위

 

새롭게 조성된 개암사 석등, 1마리의 사자가 머리 위에 화사석을 이고 있다. 1마리 석등은 처음 보았다.
▲ 새롭게 조성된 개암사 석등, 1마리의 사자가 머리 위에 화사석을 이고 있다. 1마리 석등은 처음 보았다.

 

개암사 대웅보전, 정면 3칸 건물이지만 그리 작지 않게 보였다. 그러나 저 대웅보전이 5칸에 중층으로 세워졌더라면 그야말로 부처님의 세계에 오른 듯, 아름다웠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 개암사 대웅보전, 정면 3칸 건물이지만 그리 작지 않게 보였다. 그러나 저 대웅보전이 5칸에 중층으로 세워졌더라면 그야말로 부처님의 세계에 오른 듯, 아름다웠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대웅보전 내 삼존불, 본존인 석가모니와 협시보살인 관세음보살과 대세지보살이 있다.
▲ 대웅보전 내 삼존불, 본존인 석가모니와 협시보살인 관세음보살과 대세지보살이 있다.

 

개암사 대웅보전내 부처님 위 닫집, 닫집은 천상의 보궁으로 부처님이 있는 극락세계를 상징하기 위하여 화려하게 만든다.
▲ 개암사 대웅보전내 부처님 위 닫집, 닫집은 천상의 보궁으로 부처님이 있는 극락세계를 상징하기 위하여 화려하게 만든다.

 

개암사 대웅보전 천장의 아훕마리 용 중 5마리용, 용은 물속의 영물이면서 구름을 몰고 다니며 하늘을 날아다닌다고 하여, 동양에서는 신성의 영물로, 부처님을 호위한다고 하여 불전의 수호신으로 많이 있다.
▲ 개암사 대웅보전 천장의 아훕마리 용 중 5마리용, 용은 물속의 영물이면서 구름을 몰고 다니며 하늘을 날아다닌다고 하여, 동양에서는 신성의 영물로, 부처님을 호위한다고 하여 불전의 수호신으로 많이 있다.

 

대웅보전 내 화려한 천장
▲ 대웅보전 내 화려한 천장

 

개암사 대웅전 앞에서 본 누각, 아직 누각의 현판이 없어 이름을 모름.
▲ 개암사 대웅전 앞에서 본 누각, 아직 누각의 현판이 없어 이름을 모름.

 

개암사 경내 전경, 대웅보전에서 본 응진전
▲ 개암사 경내 전경, 대웅보전에서 본 응진전

 

응진전내 16아라한
▲ 응진전내 16아라한

 

개암사 대웅보전 추녀 끝에 매달린 풍경, 풍경의 아래에는 추가 있고, 추 아래에는 붕어가 매달려있다. 바람에 붕어가 흔들리면 댕그렁 댕그렁 소리가 난다.
▲ 개암사 대웅보전 추녀 끝에 매달린 풍경, 풍경의 아래에는 추가 있고, 추 아래에는 붕어가 매달려있다. 바람에 붕어가 흔들리면 댕그렁 댕그렁 소리가 난다.

 

대웅보전 화려한 귀공포와 처마, 단청의 색이 푸른 빛이 많다.
▲ 대웅보전 화려한 귀공포와 처마, 단청의 색이 푸른 빛이 많다.

 

개암사 관음전
▲ 개암사 관음전

 

관음전 내 주불인 관읍보살과 협시로 용왕 동자가 좌우에서 협시하고 있는 모습
▲ 관음전 내 주불인 관읍보살과 협시로 용왕 동자가 좌우에서 협시하고 있는 모습

 

개암사 경내전경
▲ 개암사 경내전경

 

개암사 삼성각, 삼성은 3인의 성인을 말하며, 칠성여래(우주의 중심인 북극성, 스승없이 깨달음을 얻은 독성, 절이 있는 산의 신령인 산신령을 뜻한다.
▲ 개암사 삼성각, 삼성은 3인의 성인을 말하며, 칠성여래(우주의 중심인 북극성, 스승없이 깨달음을 얻은 독성, 절이 있는 산의 신령인 산신령을 뜻한다.

 

개암사 누각
▲ 개암사 누각

 

개암사 산신령
▲ 개암사 산신령

 

개암사 지장전
▲ 개암사 지장전

 

지장전내 지장천불, 지장천불은 조상님들의 천도를 기원하는 사람들이 원불로 한분씩 모셔서 천불이 된 것이다. 중생들의 현실적인 소원으로 부모를 생각하는 사람들의 마음.
▲ 지장전내 지장천불, 지장천불은 조상님들의 천도를 기원하는 사람들이 원불로 한분씩 모셔서 천불이 된 것이다. 중생들의 현실적인 소원으로 부모를 생각하는 사람들의 마음.

 

[우리문화신문=최우성 기자]  호남평야의 서쪽에 위치한 변산반도는 평야지역에 솟은 꽤 높은 바위산들로 이루어져 있다. 이곳에는 최고 높은 봉우리인 의상봉(508m)을 중심으로 신선봉(486m) 삼신산(486m) 옥녀봉(432m) 관음봉(424m) 상여봉(395m) 등이 있으며, 직소폭포, 봉래곡, 선녀탕 와룡소 가마소 등 산과 계곡으로 이루어져 있다. 변산반도에는 고찰로 내소사와 개암사가 있는데 개암사 뒤로는 험한 산 등줄기에 우금산이 있다. 우금산 꼭대기 능선에는 전란시 방어시설로 대비한 우금산성이 있으며, 그 우금산성의 한 봉우리에 우금암봉이 불쑥 솟아있는데, 그 바위에 원효굴이 있다. 개암사의 절 이름은 아마도 우금바위에 뚫려있는 원효굴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개암사(開巖寺)는 그 창건이 백제말기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고찰이다. 개암사는 백제무왕 35년(634) 묘련스님이 창건하였으며, 신라통일 시대를 살아왔던 원효와 의상도 머물렀다고 한다. 이후 고려 말 1314년 충숙왕 1년 원감국사가 개암사를 중창하여 큰 규모의 절이 되었다. 그러나 이 또한 조선왕조에 들어 정유재란을 거치면서 완전히 파괴되고 말았다.

 

개암사와 원효스님과의 전설같은 이야기는 개암사 뒷산에 크게 솟아있는 우금바위에 있다. 원효스님이 좋은 수도처를 찾아 수행하다 울금바위에 올라보니 그곳에 동굴이 있었다. 원효스님은 이곳에서 수도하고부터 이곳을 원효방이라 부르게 되었다. 그런데 이 동굴에는 극심한 가뭄에도 마르지 않는 샘물이 있어, 이 샘물은 원효샘이라고 부른다. 바위에서 솟아오르는 샘물은 바닥에 딱 한바가지 만큼씩만 고이며, 그 물빛이 젖처럼 뽀얗고 맛이 부드럽고 달콤하기까지 하여 젓샘이라고도 부른다.

 

이런 개암사는 정유재란이 지나고 병자호란이 지난 효종9년(1658) 밀영선사와 혜징선사가 현재의 대웅보전을 재건하면서 다시 사찰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으나, 본래의 모습을 복원하지는 못하였다. 그러나 개암사 대웅보전은 그 화려함이 임진왜란이 지난 후, 복원된 많은 절의 대웅전들 중에서도 그 화려함이 어느 절의 대웅전에도 떨어지지 않는 화려함을 갖추고 있다.

 

다만 아쉬움이란, 본래 사찰의 대웅전이었다면 경복궁 근정전처럼 그 평면형태가 정면5칸 측면 4칸의 중층(2층으로 보이나 내부가 막히지 않은 통층건물을 말함)으로 되었을 것이나, 전후 재건하면서 그렇게 하지 못함이다.

 

그러나 이를 제외하고는 건물의 외관이 정면3칸 측면3칸에 기둥 위 공포는 기둥과 기둥 사이에도 2개씩 있는 다포양식으로 화려하며, 주두의 모습이 각지지 않고, 곡선으로 되어있어, 주두를 연잎처럼 단청하였다는 점이 돋보인다.

 

또 공포의 출목은 내부 외부 모두 3출목으로 공포의 장식 또한 복잡하고 화려하다. 그런데 조선 후기에 지어진 건물들의 공포에서는 볼 수 없는 세밀하게 가공한 모습들도 여러 곳에 보이고 있으며, 건물의 내부에는 부처님을 모시는 불단과 부처님 위에 집처럼 꾸민 닫집 또한 무척 화려하다.

 

또, 건물의 내부 공포 또한 무척 화려하며, 내부에는 9마리의 용장식이 부처님을 향하여 머리를 내밀고 있고, 불단의 위에 있는 닫집에는 다시 아홉마리 용이 상서로운 집을 지키고 있다. 이렇게 화려한 대웅보전은 보기 힘들 정도로 화려하여, 개암사 대웅보전은 보물 제292호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대웅보전 외 개암사의 중건은 조선 정조7년(1783) 승담(勝潭)스님의 노력에 의한 것이다.  개암사는 호남평야에서 서해바다쪽으로 뻗어나면서 돌출한 변산반도에 위치하며, 능가산 울금바위가 대웅전 뒷편에 자리하고 있어 수려하면서도 강인한 기운을 느끼게 한다. 개암사는 능가산 줄기가 좌청룡 우백호로 감싸고 있는 곳에 있으면서도 대웅전 앞에는 상당한 넓이의 마당이 펼쳐진 위치로 대웅전을 중심으로 누각과 불이문이 일직선으로 축을 이루고 있고 좌우에는 요사채가 배치되어 있다.

 

몇년 전까지는 대웅전 앞에 누각이 없어 허전하였는데, 이제는 누각이 들어서 넓으면서도 아늑한 느낌이 드는 아름다운 사찰이 되어가는 느낌이 들었다. 정연한 부처님의 세계를 펼쳐보이고자 꾸준히 노력하는 개암사가 앞으로도 아름다운 모습으로 후세에 남겨져 부처님의 향기가 오래도록 전하길 기원해본다.



  • URL 복사

KBB한국불교방송 방송/신문/매거진 무단 저재 및 재배포 금지

- 상업적 목적의 사용은 허용하지 않습니다.

- 출처 'KBB한국불교방송'을 반드시 표시하셔야 합니다.

KBB한국불교방송은 여러분과 함께 만들어 갑니다.

제보 053-1670-2012

많이 본 매거진

인기 영상

많이 본 신문

KBB 전체 인기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