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B한국불교방송

KBB한국불교방송

HOME > 매거진 > 화보/출사

신라 구산선문 중 충청지역 보령 성주사터
작성자
최고관리자
등록일
2022.12.12 10:21
조회수
3,056
  • URL 복사

7aae5502999e60a21d2c1b456258b474_1670807604_9585.jpg
 

7aae5502999e60a21d2c1b456258b474_1670807611_201.jpg
▲ 신라 구산선문 위치도 


7aae5502999e60a21d2c1b456258b474_1670807630_0731.jpg
▲ 현재 성주사터 안내도 


7aae5502999e60a21d2c1b456258b474_1670807645_1316.jpg
 

7aae5502999e60a21d2c1b456258b474_1670807652_5224.jpg
▲ 백제시대 추정 오합사의 모습, 금당 앞에는 탑-금당-강당이 일직선상에 대칭으로 지어진 1탑1금당식 배치도이며, 금당 앞에는 5층목탑이 있다. 금당은 현재의 절로 보면 대웅전 또는 극락전 등 가장 크고 중심이 되는 건축물로 중층(2층으로 보이나, 내부는 통층으로 된 건물)이며 내부에는 부처님을 모신 건물이고, 5층목탑은 부처님의 사리를 모신 건축물로 석가모니를 모신 것으로 간주하여 절 건축물에서는 금당과 탑이 가장 중요한 건물이다.


7aae5502999e60a21d2c1b456258b474_1670807691_1659.jpg
▲ 13세기에 불탄 뒤 다시 세웠을 성주사의 추정모습, 1탑1금당의 배치이나 금당 앞에 있던 옛 목탑자리에는 목탑대신 5층석탑을 세웠다. 이 또한 중문-탑-금당-강당이 일직선 상에 배치된 것은 오합사와 같으나, 금당 앞에 탑만 목탑에서 석탑으로 바뀌었다.


7aae5502999e60a21d2c1b456258b474_1670807716_8331.jpg
▲ 화재로 불이 탄 뒤, 다시 중건한 성주사. 중문-탑-금당-강당이 일직선으로 배치된 모습에 주변을 둘러싼 회랑의 일부를 허물고 금당 옆에는 삼천불전이 크게 세워진 모습


7aae5502999e60a21d2c1b456258b474_1670807737_8527.jpg
▲ 현재 성주사 전경, 전각이 없어진 터에 석탑만이 남아 있다. 가운데  5층석탑 뒤로는 금당이 있었는데, 금당의 석조기단부만 남아있는 모습이며, 금당 뒤로 3층석탑이 2기 보인다, 가운데는 1기의 3층석탑이 있으나, 5층탑에 가려서 안보임.


7aae5502999e60a21d2c1b456258b474_1670807762_1374.jpg
▲ 5층석탑과 석등 


7aae5502999e60a21d2c1b456258b474_1670807783_4111.jpg
▲ 성주사 금당 석조불좌와 5층석탑 


7aae5502999e60a21d2c1b456258b474_1670807800_8977.jpg
▲ 금당 뒷편에 있는 강당 전각 앞 3기의 3층석탑들 


7aae5502999e60a21d2c1b456258b474_1670807829_4794.jpg
▲ 3층석탑의 모습, 3기가 비슷한 모습이었다. 이 석탑들은 경주 불국사 석가탑과 같은 형식이며 그 크기는 작은 탑이다.


7aae5502999e60a21d2c1b456258b474_1670807851_4558.jpg
▲ 낭혜화상(무염)스님 탑비 (겨울철에 찍은 사진) 비석의 높이가 4.55m이 이르는 대단히 큰 석비로  당시 낭혜화상의 큰공덕을 짐작할 수 있다. 비문에 따르면 낭혜화상은 태종 무열왕의 8세손으로 13세에 출가하여 당나라에 유학 시, 중국의 선사들로부터 뛰어난 지혜와 지식에 대해 칭송을 받은바 있다. 신라로 돌아와 웅천주(보령)에 오합사의 주지가 되었으며 오합사를 성주사로 이름을 바꾼 뒤 선종가람으로 많은 제자들을 가르쳤다. 낭혜화상은 진골출신이었으나 아버지 대에는 6두품으로 신분이 낮아졌으며, 입적한지 2년 뒤 진성여왕4년(890) 그의 사리탑을 세웠다. 낭혜화상 탑비는 통일신라시대에 만들어진 탑비중에서는 가장 큰 탑이며, 그 조각솜씨 또한 화려하고 세밀하기 이를데 없으나, 탑비의 기단인 귀부(거북이돌)는 현재 많이 손상된 상태로 남아있다. 조선시대에 이르러 사찰 전각의 많은 문화재가 훼손되었다. 


7aae5502999e60a21d2c1b456258b474_1670807975_1704.jpg
▲ 탑비의 내부모습


7aae5502999e60a21d2c1b456258b474_1670807990_5703.jpg
▲ 탑비 상부 모습 


7aae5502999e60a21d2c1b456258b474_1670808007_8503.jpg
▲ 탑비 아래 귀부(거북돌) 발부분 섬세한 조각 


7aae5502999e60a21d2c1b456258b474_1670808024_5917.jpg
▲ 탑비 받침돌인 귀부(거북돌)의 옆면 조각모습, 오랜 세월 속에서도 마치 얼마 전에 조각한 듯한 모습이다. 


7aae5502999e60a21d2c1b456258b474_1670808041_157.jpg
▲ 탑비의 받칩돌인 귀부(거북돌)의 손상된 머리부분 


[우리문화신문=최우성 기자] 


신라후기 한국의 불교는 화엄경을 위주로한 교종에서 금강경을 위주로한 선종으로 바뀌어 갔다. 교종(敎宗)이 석가모니 부처님의 설법에 따른 경전화 된 교리를 중심으로 공부하고 수행하여 이땅에 부처님이 이룩하고자 한 화엄불국토를 이루고자 한 것이 목적이라면, 선종(禪宗)은 부처님의 가르침 가운데 궁극적 깨달음을 구하여 스스로 부처님처럼 깨달음을 얻는 것이 목표였다.

 

다시 말하면 선종은 팔만대장경 경전 속 가르침 보다는 앞서 깨달은 선사들 처럼 스승으로 부터 받은 화두를 추구하여 자신만의 깨달음으로 풀기 위하여 좌선수행을 위주로 하는 선수행 불교다. 이런 선수행 위주의 불교는 일찍이 부처님 당시부터 인도에 있어왔지만, 선종이 화려하게 꽃피운 때는 당나라시절(600년대) 경전을 통한 불교공부를 전혀 하지 못했던 한 나뭇꾼이 시장에 나무를 팔러왔다가 어떤 스님이 읊조린 금강경의 한 구절을 듣고서 바로 부처님의 깨침을 얻은 뒤의 일이다.

 

그 나뭇꾼은 출가하여 스님이 되었고, 당대 수백명의 제자를 거느린 선종의 대가인 홍인대사의 문하에 들어 갔다. 그런데 행자시절 방앗간에서 허드렛일을 하며 불교공부도 좌선수행도 하지도 못하던, 그는 홍인대사의 많은 제자들을 제치고 홍인대사의 뒤를 이은 선의 계승자가 됨으로써 선불교는 화려하게 꽃피웠다. 그 나뭇꾼이 바로 중국의 6조대사로 추앙받는 혜능스님인데, 그 이전 까지 선의 계승자는 당대 최고의 선사로 이어받은 계승자가, 오랫동안 수행한 제자들 가운데 오직 한사람의 수제자에게만 자신의 법맥을 전수하는 것이 전통이었다.

 

그런데 6조 혜능대사 이후로는 깨달음을 인가 받는 수행자라만 누구나 인가를 받게 되었다. 따라서  같은 시대에도 많은 선사들이 나오게 되었다. 그리하여 중국은 물론 한국땅에서 수많은 선의 종사들이 배출되었고, 이에따라 신라땅에는 중국에 유학하여 여러 선사스승들로부터 깨달음을 인정 받은 신라의 후계선사들이 신라땅에 선불교를 퍼뜨리게 되었는데,  그것이 신라의 9곳 선종의 본찰들로 구산선문이 된 것이다.

 

이런 연유로 세워졌던 절 가운데 보령땅에 본부를 둔 선종사찰이 바로 성주사다. 성주사에는 신라말 821년(헌덕왕 13) 당나라 불광사로 유학을 갔던 무염스님이 첫 스승 여만스님으로부터 선법을 공부한 뒤, 당나라 시절 최고의 선사로 명성을 떨치던 '마조'스님의 직계수제자인 '마곡보철'스님으로부터 선문답을 통하여 인가를 받게되었다. 그런 뒤 무염스님은 자신의 깨달음을 증명하기 위하여 중국땅 곳곳에에서 명성을 떨치던 선사들을 찾아가 선문답을 한 뒤 모두에게 인가를 받아서 동방(신라사람)의 대보살이라 추앙받았다.

 

그런데 당나라 후기 중국은 폐불정책으로 선불교가 위축되는 상황을 맞이하였고, 중국 각지에서 선사들로부터 인가를 받은 '무염'스님은 자신의 깨달음을 신라로 돌아와 선불교를 전파하고자 신라 문성왕 7년(845) 귀국하였다. 이후 좋은 명당터를 찾다가 이곳 보령땅에 이르러 당시 오합사가 있던 절을 성주산문의 본산으로 중창하여 주석하며 40여년 동안 수많은 제자들에게 선법을 전수하였다. 그러다 888년(진성여왕 7년)에 이르러 88살에 입적하였고, 임금은 무염스님에게 '낭혜'라는 시호를 내리며, 당대 최고 문장가인 최치원에게 '무염'의 생애를 기록한 '낭혜화상백일보광탑비'를 짓게하고 비석을 세웠다.

 

낭혜화상 덕에 선의 종가가 된 성주사는 이후 화려하게 번창하였으나, 13세기에 절 전체가 불에 탔고, 이를 다시 중건하였는데, 절의 본당인 금당 앞에는 5층의 목탑자리에 5층석탑을 짓고, 금당 뒤에는 강당 앞에 3층석탑을 배치하여 하나의 절안에 4개의 석탑이 있는 독특한 형태의 가람배치를 갖추게 되었다.

 

하지만 이후 조선시대를 지나면서 언제인지 폐사가 된 채 방치되었다가, 최근에 이르러 석조물들을 본래 모습으로 되살리고, 낭혜화상 무염스님의 비석에도 보호각을 세워 옛 자취를 알 수있게 하였다.  폐허가 된 성주사터를 돌아보면서 영원한 것은 없다는 부처님의 가르침이 생각났다. 하지만, 석조물 가운데서도 낭혜화상(무염)의 탑비는 있는데, 스님의 사리를 모셨던 승탑은 어디로 갔는지 위치도 형태도 보이지 않아 안타까움이 컸다. 지금은 멀지 않은 곳에 충남지역 사찰을 관할하는 본사로 수덕사가 있지만, 옛날에는 수덕사 보다는 이곳 성주사나, 서산의 보원사  예산의 가야사가 더 대단한 사찰이었다. 


기자정보

프로필 사진
최우성 기자

최우성 (건축사.문화재수리기술자. 한겨레건축사사무소 대표)

  • URL 복사

KBB한국불교방송 방송/신문/매거진 무단 저재 및 재배포 금지

- 상업적 목적의 사용은 허용하지 않습니다.

- 출처 'KBB한국불교방송'을 반드시 표시하셔야 합니다.

KBB한국불교방송은 여러분과 함께 만들어 갑니다.

제보 053-1670-2012

많이 본 매거진

인기 영상

많이 본 신문

KBB 전체 인기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