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B한국불교방송

KBB한국불교방송

HOME > 매거진 > 칼럼/기고/봉사

포항교도소 하반기 염불칭명 업장소멸 법회 (함께하는 행복한 세상을 발원하면서)
작성자
최고관리자
등록일
2023.09.07 10:10
조회수
1,401
  • URL 복사

약삼천대천국토 만중야차나찰 

若三千大千國土 滿中夜叉羅刹 

욕래뇌인 문기칭관세음보살명자

欲來惱人 聞其稱觀世音菩薩名者

시제악귀 상불능이악안시지 황부가해

是諸惡鬼 尙不能以惡眼視之 況復加害

설부유인 약유죄 약무죄 추계가쇄 검계기신 

設復有人 若有罪 若無罪 杻械枷鎖 檢繫其身 

칭관세음보살명자 개실단괴 즉득해탈

稱觀世音菩薩名者 皆悉斷壞 卽得解脫


만약 삼천대천세계에 가득한 야차와 나찰들이 어떤 사람을 괴롭히고자 할지라도, 그 사람이 관세음보살의 명호(名號)를 부르는 소리를 듣게 되면 이러한 모든 악귀들은 능히 나쁜 눈으로 보지도 못할 것이나니, 하물며 다시 해를 입힐 수 있겠는가.

설령 어떤 사람이 죄가 있거나 죄가 없거나 수갑과 쇠고랑과 쇠사슬로 그 몸을 채우고 얽어 매였을 때, 관세음보살의 명호를 부른다면, 모두 부서지고 끊어져서 곧 해탈을 얻게 되는 도다.


위의 게송은 7권 28품으로 구성되어 있는 『법화경』 중 제 25품 「관세음보살보문품」 경전의 일부이다. 

160dca03f18ad9783879a7dd8fbee6fa_1694048719_8614.jpg
160dca03f18ad9783879a7dd8fbee6fa_1694048720_0737.jpg
160dca03f18ad9783879a7dd8fbee6fa_1694048720_1935.jpg
160dca03f18ad9783879a7dd8fbee6fa_1694048728_7881.jpg
160dca03f18ad9783879a7dd8fbee6fa_1694048799_3615.jpg
지난 9월6일 포항교도소 하반기 불교법회를 봉행하였다. 무더웠던 삼복더위에 2달을 쉬고 처음 맞이하는 불교법회를 맞아 인연이 있는 보살님 모녀께서 빵300개와 바나나 300개를 시주하여 따뜻한 마음으로 함께하는 행복한 세상을 발원하면서 포항교도소불교법회 열고 경전에 드러난 내용을 합송하고 각자의 신(身) · 구(口) · 의(意) 삼업(三業)의 업장(業障)을 선업(善業)으로 증장(增長)되길 발원하면서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 칭명염불(稱名念佛)하고 회향하였다. 

이달의 주제는 경론(經論)에 드러난 염불칭명으로 통하여 각자자신의 업장을 녹이고 주위 나와 인연있는 분들에게 불보살님의 청정한 가피를 전해주는 방법에 대한 법문과 함께 직접 대중 법우들과 함께 관세음보살 일념으로 칭명염불(稱名念佛)하였다. 일찍이 용수보살(150-250)은 『십주비바사론』 「이행품」에서 말씀하시길 “성불로 가는 구도의 길을 수행의 어렵고 쉬움에 따라 난행도(難行道)와 이행도(易行道)로” 구분하였으며 칭명염불의 선구자인 담란대사(476-542)는 “난행도와 이행도의 구분을 따르면서 참선, 간경, 주력의 문을 자기 힘으로 가는 것이라 해서 자력문(自力門)이라하고, 염불의 문을 아미타부처님 본원(本願)의 힘으로 가는 것이라 해서 타력문(他力門)이라고”하였다. 

160dca03f18ad9783879a7dd8fbee6fa_1694048862_4313.jpg
160dca03f18ad9783879a7dd8fbee6fa_1694048915_082.jpg
또한 이러한 전통을 이은 도작(道綽:562-645)선사는 자기의 힘으로 깨달음을 여는 것을 성도문(聖道門)이라하고, 아미타불의 본원에 의해 정토에 왕생해서 그 공덕으로 보살도의 수행을 닦아 부처가 되는 것을 정토문(淨土門)이라 하였다. 또한 선사는 「안락집」 성정이문(聖淨二門)에 말법시대에서는 시대와 근기에 상응하는 정토문이 유일한 법이라고 역설하였으며, 그는 또한 「염불감응록」에서는 “자기의 공덕을 정토에 회향하면 이것이 자력이요, 아미타불의 공덕을 중생에게 회향하여 베풀면 이것이 타력이다. 자력도 오히려 정토에 왕생할 수 있거늘 하물며 타력 이겠는가”라고 하여 염불을 통해 부처가 되는 길을 말하고 있다. 


먼저 염불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경론에 들어난 내용을 함께 알아보았다. 『해탈도론』에는 염불의 내용은 아래와 같다. “무엇이 염불인가? 불(佛)이란 세존으로서, 자연히 스승없이 일찍이 듣지 못한 법에서 올바른 진리를 바로 깨닫고 능히 일체를 알아 힘의 자재를 얻은 이를 불(佛)이라 한다. 불세존의 보리공덕을 생각하고(念)수념(隨念)하며, 기억하여 지니고(念持)하고 잊지 않으며, 염근,염력, 정념하는 것을 염불이라 한다”.라고 하였다.(해탈도론 권6 한글대장경 195책 p.99)


『사유략요법』에서는 “부처님께서는 법의 왕이 되어 능히 염불하는 사람으로 하여금 온갖 착한 법을 얻게 하신다. 이런 까닭으로 사람은 먼저 부처를 염해야 한다. 염불은 무량한 겁의 무거운 죄를 적게 하고 엷게 하여 선정에 이러게 한다. 지극한 마음으로 염불을 하면 부처님 또한 이를 염한다. 사람이 왕을 위하여 염하면 원수나 채권자들이 감히 침해하거나 가까이하지 못하는 것처럼 염불하는 사람을 모든 악법이 와서 교란하지 못한다. 부처님을 염하면 부처님은 항상 있다”라고 하였다. 『사유략요법』한글장157책 p.585


또한 두려움이 있는 사람은 초기 경전인 『증일아함경』권14. 한글장9, p.263-264.서 염불을 권하고 있다. “만약 너희들에거 두려움이 생기거든 나를 생각하라(念佛). 그러면 두려움이 없어지리라. 만일 나를 생각할 수 없거든 그때에는 법을 생각하라(念法). 그러면 두려움이 사라질 것이다. 만일 나를 생각할 수 없거나 법을 생각 할 수도 없거든 그때에는 성중(聖衆)을 생각하라. 그러면 두려움이 사라질 것이다.”라고 말하고 있다. 성중(聖衆)은 극락세계의 모든 보살이나 깨달음을 증득한 스님들을 일컫는다.

160dca03f18ad9783879a7dd8fbee6fa_1694048987_157.jpg
『증일아함경』권1에서는 “중생이 세 가지 삼업(三業)으로 악을 지었더라도 죽음에 임박하여 여래의 공덕을 생각하는 사람은 틀림없이 악한 갈래의 세계를 떠나 천상에 태어나게 될것이며, 설령 극악한 사람이라 할지라도 염불을 한 까닭에 또한 천상세계에 태어날 것”이라 하며 『화엄경』권48에서는 “오욕락에 탐착하면 모든 선근을 장애하게 되니 마치 겁말의 화재가 수미산을 태울 때 하나도 남김없이 모조리 태워 버리듯 탐욕이 마음을 얽어매면 끝내 염불할 뜻을 내지 못한다”고 한다. 또한  『화엄경』에서는 “여법하게 부처님께 공양을 하면 염불하는 그 마음이 흔들리지 않고 만일 염불하는 그 마음이 흔들리지 않는다면 한량없는 부처님을 뵙게 즉시에 뵙게 된다고”라고 하였다.  

160dca03f18ad9783879a7dd8fbee6fa_1694049006_889.jpg
마지막으로  『묘법연화경』권7에서는 “누구나 관세음보살의 명호를 듣고 지극한 마음으로 부르면 관세음보살님께서 곧 그 소리를 듣고 모두 해탈을 얻게 하며, 또한 관세음보살님의 명호를 부르는 사람은 비록 큰 불속에 있더라도 불이 능히 그를 태우지 못하리니 곧 관세음보살님의 위신력이 있기 때문이다.”라고 설하고 150여 명의 참석 대중들과 함께한 모녀 또한 포항교도소 직원 모두가 관세음보살 일념으로 전도(顚倒)되지 않고 칭명염불 10여 분 동안 관음정근을 하였다. 오늘의 칭명염불 공덕이 있다면 함께한 모녀의 소원성취를 발원하고 또한 참석한 대중 150여 명의 각자의 건강한 삶과 행복한 가정을 발원하면서 포항교도소 하반기 첫 시작법회를 무탈하게 회향하였다. 아래 게송은 회향의 말미에 합송한 나옹왕사의 승원가 일부분이다. 


지성으로 염불하면 염불인 성명자는   

至誠矣奴念佛何面 念佛人姓名字隱

염라대왕 명부안내 반다시 빼가고 

閻羅大王冥府案內 必多是拔去古

극락세계 연화우에 명백히 기록하고  

極樂世界蓮花上禮  明白希記錄何古

관음세지 대보살이 중매되야 다니다가 

觀踵勢至大菩薩耳 中媒道也多而多可

이목숨 다할적에 무수한 대보살과 

以命壽盡割底計 無數恨大菩薩果

백천풍류 울리시고 경각간애 왕생하리 

百千風流鳴理是古 頃刻間厓往生何耳


포항교도소 종교위원 서남사 주지 철학박사 현담 합장.            


  • URL 복사

KBB한국불교방송 방송/신문/매거진 무단 저재 및 재배포 금지

- 상업적 목적의 사용은 허용하지 않습니다.

- 출처 'KBB한국불교방송'을 반드시 표시하셔야 합니다.

KBB한국불교방송은 여러분과 함께 만들어 갑니다.

제보 053-1670-2012

많이 본 매거진

인기 영상

많이 본 신문

KBB 전체 인기게시물